10년 국채선물은 하한가

2023. 10. 4. 18:57경제이슈 시황정리

반응형


진짜 증시고 선물이고 미쳐날뛰네요

외국인 대한민국에서 초고속 이탈중...

원화가 똥값으로 쭉 가는...상황이 나타나겠네요

이러면 진짜...답이 없는디 ㄷㄷ

윤석열이 나라를 제대로 망쳐주고 있습니다

더 망쳐줘라.... 오네가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588066?sid=101&fbclid=IwAR0btQT2JLEcxeUYnHCewcYuMO8SKJ3S25Vpph_XAnOMPrOlRL2GgCUTL4w

‘검은 수요일’… 10년 국채선물, 사상 최초 하한가[채권마감]

10년 국채선물이 사상 최초 하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10년 국채선물은 291틱(2.70%) 하락한 104.99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낙폭을 경신했다. 국채 현물 금리는 일제히 20bp(1bp=0.01%포인트) 넘게

n.news.naver.com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미국 자산 시장(asset markets)의 공포 심리

2008년 금융 위기를 초래하였던 2004년의 금리 인상 사이클 보다도 더 급격한 속도로
진행된 2022-23년의 금리 인상 사이클(0.25-5.5%)의 영향으로 인한  주식이나 채권 그리고 부동산 시장 등 자산 시장(asset markets)의 가격 변동 상황을 살펴보면 채권 시장의 충격을 제외하고는 예상 외로 충격이 매우 적었다

주식시장도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었고 주택 시장의 경우 일부 지역적 편차는 확대되었지만 평균적으로 볼 때에는 대체로 주택 가격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런데 최근 유가 반등으로 인한 인프레 불안이 확산되면서 금리 인상이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그야말로 가속화 되고, 본격화 되고 있는 느낌이다

먼저 채권 시장의 경우 미국 장기 국채 시장의 금리가 4.49%를 찍었던 순간에 2020년5월15일 금리 1.25%로 발행된 30년물 장기 국채의 가격이 "반토막이 되었다"

이 때부터 시장의 공포가 확산되기 시작하여 향후 장기 금리는 5-7%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는 Wall Street의 두 거물들의 발언( JP Morgan의 회장과 BlackRock 그룹 회장)이 공포를 부추기면서 미국의 채권 시장은 발작 상태를 보이고 있다

채권 시장의 발작이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쳐서 잘 나가던 주식시장도 이제는 비관적 분위기가 갑짜기 만연 되고 있는 느낌이다

주식 시장의 분위기가 "비관적인 상태"에서 순식간에 "공포"로 전환되는 국면은 우리도 많이 보아서 익숙하다

만일 Wall Street의 두 거물들의 주장대로 장기 금리가 5-7%수준을 넘나드는 상황이 현실화 될 가능성 매우 높아졌다고 모두가 생각하게 되는 순간 주식시장은 폭락 에 가까운 위기 상황을  겪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고 본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100003336620209/posts/pfbid02NmvB2rViA5Duv9JaUebo9s5Fc2s28pNThCmdSY511AyE7vw3Jfyd1HXKbvFXe6WKl/?mibextid=2JQ9o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