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의 소프트렌딩이 어려운 이유?

2023. 9. 20. 01:29경제이슈 시황정리

반응형


미국이 연착륙에 성공해야... 다른 나라들도

하나둘 숨통이 좀 틔일듯한데 이게 회복이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그동안 많은 주체들이 계속 힘들었었는데

코로나19이후로 회복되는 사람들이 생길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연착륙이 어려운 이유 - WSJ, 닉 타마리오스

90년, 01년, 07년 경기침체 직전마다 많은 월가의 이코노미스트는 침체없는 인플레 진압 (연착륙) 이 가능하다고 말했음. 이번에도 이러한 인플레 진압과 노동시장 둔화의 낙관론이 나오는 중.


그럼 왜 연착륙은 항상 가능하다고 했지만 불가능 했을까?


여기에 네가지의 어려움이 있다고 필자는 말한다.

​1) 연준이 너무 오래 금리를 유지하는 경우

2) 경제성장이 가속화 되는 경우

3)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4) 금융위기 (금융불안정)이 발생하는 경우



경제가 너무 과열되면 수요에 의한 인플레가 유발되고, 이를 잠재우려면 실업률이 상승하며 이는 강한 방향성으로 인해 멈추기가 어려움.

​따라서, 연준은 인플레를 잠재울만한 '적절히 긴축적인' 수준을 찾아야하고, '적절한 기간'동안 유지해야함으로서 경제성장을 '적절히'둔화시킬 수 있음. 이런 '적절한' 긴축정책은 금융안정 파트도 당연히 신경써야함.

​최근 소비지출과 기업투자가 다시 가속화되는 조짐을 보이는데, 이런 경제성장의 가속화가 부르는 고금리가 연착륙을 어렵게 만드는 역풍을 만들 수 있음.


근데 이런 '적절한' 긴축정책을 세팅한다 해도, 에너지라는 공급측면의 (중앙은행이 통제하기 어려운) 부족은 인플레이션을 공급측면에서 일으켜서 또다시 긴축정책의 '적절함'에 불확실성을 가져옴.

​결론적으로, 연준이 연착륙을 달성하기 위해선 "많은 행운"이 필요함. - Antúlio Bomfim, a former adviser to Fed Chair Jerome Powell who is now at Northern Trust Asset Management.




*의역과 요약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