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는 옵션 만기일 및 리밸런싱

2023. 7. 24. 08:42경제이슈 시황정리

반응형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증시 방향성을 좌우하는 FOMC와 실적"

-------

<Weekly Three Point>

a. 금요일 미국 증시는 옵션 만기일 및 리밸런싱 등 수급 이벤트 등으로 혼조세 (다우 +0.01%, S&P500 +0.03%, 나스닥 -0.22%)

b. 이번주 초대형 이벤트인 7월 FOMC, 25bp 인상 여부보다는 이후의 금리 경로 변화가 중요

c. 이번주 코스피는 미국 빅테크 실적,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실적, FOMC 등 대형 이벤트에 영향 받으며 변동성 장세 예상

-------

0.  

한국 증시는 1) 7월 FOMC 및 ECB 통화정책회의, 2) 알파벳,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빅테크 실적, 3) SK하이닉스, 삼성전기 등 국내 주요 기업실적, 4) 미국 6월 PCE, 7월 제조업 PMI 등 주요 경제지표 등 대내외 대형이벤트에 영향을 받으면서 변동성 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560~2,660pt).

1.

21일(금) 미국 증시는 옵션 만기일 및 나스닥100 지수 리밸런싱 등 수급 이벤트 속 7월 FOMC 경계심리, 아메리칸익스프레스(-3.9%) 등 기업실적 부진 소식이 장중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끝내 혼조세로 마감(다우 +0.01%, 나스닥 -0.2%).

최근 증시 흐름을 반추해보면, 7월 상당기간 주식시장이 긍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인 것은 양호한 2분기 실적 시즌 및 실적 저점 통과 기대감이 작용한 측면이 있음.

가령, Factset 데이터 기준으로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전체 기업 중 15%) 중 약 75%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EPS(주당순이익)를 기록 했으며, 코스피 역시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 이후로 이익 전망 상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2.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증시 상승 탄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점은 향후 시장이 풀어나가야 할 또 다른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임.

최근 실적을 발표한 테슬라나 넷플릭스의 주가 조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실적 자체는 잘 나왔음에도 세부적인 실적 내용이 부진했거나 시장의 기대치 자체를 충족시킬지 못하는 사례도 출현하고 있는 상황.

상기 언급했던 S&P500 기업들의 75%가 컨센 상회 실적을 기록했으나, 과거 3년 평균 80%, 5년 평균 77%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점도 유사한 맥락으로 보면 될 것.

이런 관점에서 금주 예정된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증시 대장주인 빅테크주 실적이 어느정도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시키는지가 전반적인 증시 방향성의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

또 한국 증시에 한정해서도 SK하이닉스, 삼성전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결과 및 이후의 영업이익 전망치 변화가 IT, 바이오 포함 코스피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국내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예상.

3.

금주에는 기업 실적 그 이상으로 증시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인 7월 FOMC가 대기 중에 있음.

지난 6월 FOMC 및 이후의 연준 인사들 발언들로 7월 25bp 인상이 기정사실화 됐기에, 주가나 금리에도 25bp 인상은 반영된 것으로 판단.

결국, 7월 FOMC 관전 포인트는 향후 연준의 정책 금리 경로가 현재 시장의 컨센서스로 형성된 “9월 동결 및 내년 3월 인하”로 유지될 지, 아니면 “9월 혹은 11월 추가 인상” 쪽으로 변화가 생길지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

7월 FOMC는 점도표를 제공하지 않는 만큼,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단서를 찾아야 할 것.

7월 중 발표된 6월 CPI나 PPI가 둔화되긴 했지만, 8월 중 발표 예정인 7월 CPI가 재차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클리블랜드 연은의 인플레이션 나우캐스팅 모델 상 7월 CPI 3.4%YoY vs 6월 3.0%), 파월 의장 입장에서는 매파적인 발언을 할 수 있음에 대비할 필요.

다만, 향후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것은 헤드라인 CPI의 역기저효과 소멸 등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인플레이션 레벨 다운 추세는 훼손되지 않았기에, 향후 연준의 정책 금리 경로는 7월 FOMC 부로 긴축 사이클 종료”를 기본 전제로 상정하고 증시 대응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639



2023.07.24 주식비서 아침 뉴스 브리핑

1. 거시경제 주요 뉴스

美 모기지 금리 3월 이후 최대 하락폭…"인플레 진정"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4517


美 금리시장 "이달 25bp 인상으로 종료…내년 3월부터 인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4636


다우 10거래일 연속 상승 vs. 나스닥 리밸런싱에 0.2% 하락[뉴욕마감]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944436?sid=101


월가 "뉴욕증시, 여름 조정 임박했을 수도"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4608


나스닥 3년 수익률 보니…버블은커녕 과거 평균보다 낮아[오미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72114250075067


"넥스트 전장은 생성형 AI"…美, GPU 수출금지·클라우딩 접근제한 나설 듯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17496


'구글 신화' 브린, 4년 만에 돌아왔다…AI 구원투수 등판
https://biz.sbs.co.kr/article/20000128175


중국과 합작회사 차린 포드, 미 하원 조사받는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19047


캐시 우드 "아크 이노베이션 ETF, 중국 투자 모두 처분"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4610


BYD 등 中 배터리사 17곳, 나트륨이온 배터리 안전성 평가 통과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7194


수십兆 투자 앞둔 K배터리, 美 IRA 불확실성에 조마조마
https://naver.me/xPp4HCOT



2. 종목&기타 뉴스

[마켓PRO] "달리는 말 올라타자"…슈퍼리치, POSCO홀딩스 ‘폭풍매수’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7235412i


에코프로 주가급등에 공매도 ‘백기투항’…하루 만에 5000억 청산
https://naver.me/GOQig3b8


[시그널] 금양, 에스엠랩 최대주주로…2차전지 연합 결성
https://naver.me/xBhl3riY


“에코프로, MSCI 편입 확실시”…내달 11일 공개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S7VEBHIP


37조 자율주행칩 시장…반·차 합종연횡 시동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72359251


하반기 AI 대전 본격화…자체 초거대 AI 모델 잇따라 출격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492687&code=61151111&cp=nv


서울시, 로봇산업 육성 종합계획 발표… 2026년까지 2000억 로봇펀드 조성
https://naver.me/F6xSlEzJ

서울시, 로봇산업 육성 종합계획 발표… 2026년까지 2000억 로봇펀드 조성

2026년까지 수서 일대에 로봇테크센터 착공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한국의 사회 구조 변화를 대비하기 위해 서울시가 ‘로봇 대중화시대’를 연다. 서울시는 23일 ‘로봇산업 육성종합계

n.news.naver.com




📮 7월 24일 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 지난 9일 이후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아직 집에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1,800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1,839명이 경로당과 마을회관, 학교와 같은 임시주거시설이나 친인척집에 머물고 있습니다. 집중호우로 사망한 사람은 47명, 실종자는 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 14명이 숨진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두고 경찰이 부실한 대응 논란에 충북경찰청이 순찰차 블랙박스 영상을 공개하며 적극 대처했다고 항변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참사가 발생하기 전 궁평2지하차도로 출동하라는 지령을 받고도 가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만 키운 꼴이 되고 있습니다.

● 집중호우로 발생한 경북 예천지역 실종자 가운데 60대 주민 2명은 아직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색 범위를 실종 지점에서 50km 하류까지 확대한 가운데, 곳곳이 수해 잔재물로 덮여 있어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국회의원들의 가상 화폐 투자를 조사한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에 따르면 국회의원들 중에서 가상화폐 거래내역을 신고한 11명의 의원 중 절반을 넘는 이들이 김남국 의원처럼 이해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일본 정부가 해외 언론에 방류 시설을 공개했습니다. 몇몇 장소만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촬영한 영상도 검열한 제한적인 공개였는데 이런 여론전에 이어 다음 달 방류에 나설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 오는 27일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70주년이 되는 날로, 북한은 이날을 '전승절'로 부릅니다. 북한은 이른바 '전승' 70주년 앞두고 각종 미사일을 발사하며 군사적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 이 같은 도발의 배경에는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도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지난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회담할 때 한중일 3국의 고위급 회담 개최를 타진했다고 교도통신이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 우크라이나가 최근 러시아에 대한 반격으로 그동안 잃었던 영토의 절반을 되찾았다고 미국이 밝혔습니다. 반격이 아직 초반이고, 몇 달은 더 걸릴 거라고도 전망했는데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반격은 실패했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 캄보디아 총선에서 훈센 총리가 이끄는 여당이 반대파의 출마가 원천봉쇄된 가운데 예상대로 압승했습니다. 38년을 장기집권해 온 훈센 총리가 장남에게 총리직을 넘기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북한처럼 왕조시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 서울 신림동에서 행인들에게 흉기를 휘두른 30대 남성이 구속됐습니다. 죄송하다는 말을 반복하고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피해자의 유가족이 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사형을 선고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 지난주 초등학교 교사가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건에 대해, 교육당국이 오늘부터 나흘간 공동 진상조사에 착수합니다. 해당 학교 교사들을 면담하고 숨진 교사의 업무 분장을 살펴볼 계획인데요. 학부모의 갑질 민원이 있었는지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 경기도 교사노조가 지난 21일부터 웹사이트를 개설해 온라인 미투 운동에 돌입했습니다. 사이트를 개설하자마자, 학부모들의 폭언 등 교권 침해 사례들이 줄줄이 올라왔습니다. 사흘 만에 1천2백 명의 교사들이 1천6백 건 넘는 피해 사례를 올렸습니다.

● 주말 사이 인천의 한 키즈 카페에서 2살 아이가 유아용 수영장에 빠져 숨졌습니다. 이 키즈 카페에는 가로 4.8m, 세로 3.2m, 깊이 67cm 정도의 유아용 수영장이 설치돼 있었는데, 사전에 예약한 손님만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들어가는 무인 운영 형태라 상주하는 직원은 없었습니다.

● 정체를 알 수 없는 우편물이 해외에서 배송됐다는 신고가 주말을 지나면서 모두 2천 건이 넘게 접수됐습니다. 이 우편물이 타이완을 거쳐 중국에서 발송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관세청은 의심되는 소포에 대해서는 통관을 미루는 등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인력사무소에서 20년째 써온 사무실 번호를 KT가 실수로 끊어버리면서 석 달 매출이 7천만 원 떨어졌는데, KT가 제시한 배상액은 백만 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 배상 한도를 턱없이 낮게 정해둔 약관과 고객이 피해를 입증해야 하는 구조 때문에 '찔끔 배상'이 반복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이번 주 FOMC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고심이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벌어질 한미 기준금리 차는 부담이지만, 가계 부채 탓에 선뜻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 난항을 겪고 있는 원유 가격 협상이 오늘 오후 재개됩니다. 큰 폭의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낙농업계와 매출 부진에 정부의 가격 안정 압박까지 받는 유업계의 입장 차가 좁혀질지 관심입니다.

● 일부 라면 제품의 가격이 이번 달부터 내렸지만, 소비자들은 인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하 폭이 작은 데다 비인기 제품 위주로 내렸기 때문인데 정부의 압력에 마지못해 가격을 내리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에서는 모두 전자파가 나옵니다. 이런 생활 속 전자파는 우리 몸에도 미세하게 쌓였다가 접촉하면 쉽게 다른 곳으로 전달되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이용해 몸속 세포를 활성화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 우리나라 프로당구가 전용구장까지 만들며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국내 남자 프로당구 1부 투어 선수는 모두 121명, 여자 선수는 153명입니다. 남자 선수의 평균 연령은 45.1세, 여자는 36.1세입니다. 상위 랭커에게 시드를 주지 않는 국내 투어에서는 신예 선수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기도 합니다.

●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 당시, 자신도 위험한 상황에서 3명을 구해낸 화물차 운전기사, '지하차도 의인'으로 불리는 유병조 씨가 1억 8천만 원 상당의 신형 화물차를 선물 받게 됐습니다. 유 씨와 운송 위탁 계약을 맺은 업체도 포상금 5천만 원을 전달했습니다.

● 이번 주 장마의 큰 변수는 북상 중인 태풍 '독수리' 입니다. 태풍은 현재 필리핀 먼 해상에서 이동하며 세력을 키우고 있는데요. 태풍 '독수리'는 북서쪽으로 이동해 주 중반쯤 대만을 지나 후반엔 중국 남부로 들어가겠습니다. 태풍의 진로에 따라 장마가 막바지에 들거나, 또는 예년보다 더 길게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월요일 오늘 오전, 서울 등 중부지방은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호남은 장대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충청권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전망입니다. 중부지방과 전라권은 오늘 오전까지, 충청권과 남부지방은 내일까지 최고 150㎜ 매우 강한 비가 예보됐습니다.


[출처:간추린 아침뉴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