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9. 08:34ㆍ다양한 일상정보
[네이버 웹툰, 나스닥 첫 거래서 장중 14% 폭등 '흥행몰이']
네이버웹툰이 나스닥상장되다니 신기하네요
웹툰은 한국의 발명품이므로 굳이 K를 붙일 이유가 없습니다. 세상에 J 웹툰 없고 C 웹툰 없고 D, F 웹툰도 없습니다. 그냥 웹툰이라고 부르면 그게 바로 K 웹툰을 뜻합니다. 따라서 "K웹툰"은 동어반복의 잘못된 표현이죠. 대한민국 특산품이니까.
이 시점에서 한국의 웹툰이 세계를 집어삼킬거라고 예언한 PSB의 10년 전 영문 포스팅을 다시 한번 읽어봅시다. 웹툰 이론은 미국서 완성했지만 글로벌 사업으로 성공시킨건 한국이 유일합니다 — [사실상 한국 특산품]
▫️▫️▫️
냉정하게 말하자면, 백남준의 시대에 한국은 창의력 따위 필요없는 나라였다.
요소투입과 노동력 갈아넣는게 훨씬 더 중요했던 박정희 산업독재 시대에 창의력이란 국보법 위반에 필적할 매우 불온하고 쓰잘데 없는 짓...
산업화를 졸업한 지금은 그럼 창의력이 필요한가?
글쎄... 원래부터 없던 창의력이 버튼 한번 누른다고 갑자기 한국인 머리서 튀어나올 턱이 없지 않은가?
그래서 급한대로 외주를 주거나 (베끼거나) 미국, 독일, 프랑스에서 창의력을 사온다.
현기차가 캘리포니아-독일에 세운 디자인 연구소, 삼성이 전 세계 수 많은 1급 디자이너에게 뿌리는 백지수표가 바로 그거다.
왜 한국 대기업이 어차피 없는 창의력 길러주려 한국인에게 그 돈을 퍼붓겠나... 그냥 나가서 사오면 될 일을...
원래 어느 나라고 주류에선 창의력이 나오지 않는 법이다.
밤새 게임질, 밤새 웹툰, 밤새 영화, 클럽에서 술/마약... 한국에서 그나마 창의력이 샘솟는 분야는 바로 이런 B급 문화다.
그래서 내가 웹툰을 한국이 만든 세계적 발명품이라고 노상 칭송하는 것이다.
아니 심지어 BTS, 반도체보다 웹툰을 더 대단하게 생각한다!
한국의 웹툰은 독자들이 자발적으로 온라인 컨텐츠에 돈을 내게 만드는, 인류사적 난제를 세계최초로 해결했기에...
반도체는 미국서 먼저 만든거고 K팝도 영미 팝의 아류다.
하지만 웹툰은 포맷부터 연출, 작화 이론, 수익모델에 이르기까지 완벽하게 한국에서 완성된 진정한 K 비즈니스 모델.
쉽게 말해 한국이 세계 최초로 발명한 것이다.
한국에서 베타테스트 끝내고 대만, 일본을 평정한 뒤 미국을 접수하러 태평양을 건너갔다.
세상에 독자들이 1주일을 못 기다려 그 돈을 펑펑 낼줄 누가 알았겠는가.
한국의 웹툰은 독자들이 자발적으로 온라인 콘텐츠에 돈을 내게 만드는, 인류사적 난제를 세계최초로 해결한 것이다.
Asia's (World's) largest comic market is Japan. Japan leads the global comic market in every indicator known to us including number of printed comic books available anytime and anywhere. When it comes to Webtoons (Web cartoons), though, South Korea is leading the market. Top portal sites update hundreds of Webtoons everyday, and those stories proven popular among Korean online users are often turned to a big-budget movie. In fact, a Webtoon-turned-film was the current box office champion in the local multiplex theaters. The author of the Webtoon had published weekly installments of his work in the No. 2 portal site.
Whereas Japan's Webtoons usually appear in the form of simple e-book converted directly from their paper counterpart, South Korean Webtoons are targeted solely at online audience from the very start with matching story telling techniques that fully capitalize on the unique opportunities the online space can offer: skyscraper pane proposed by Scott McCloud, hyperlink jump, flash animation, sound effect and even musical scores written exclusively for the Webtoon. In short, they are optimized for the full potential of the Web sphere and of the smart phone screens.
On top of the unique artistic frontier South Korean Webtoon artists have exploited so far, equally interesting experiments are being conducted on the business front as well: partial micro payment and Apple Appstore-style revenue sharing model, time versioning (dying to know next week's story in advance? Click this pay site), Google Adsense-style click-through advertisement, sales of Webtoon print copies and even product (and brand) placement.
Toonburi is unique in that it is tinkering with the holy grail of the online space--user participatory Webtoon model. The service allows anyone to try their hands at Webtoon story-telling by offering them simplified and compartmentalized templates with which they can create a story, dramatically lowering barriers to become a future Webtoon artist. I am not sure about their business model for now--that is what you will need to find out when you visit Korea. In short, it is an OhmyNews of the Webtoon
I hope this brief introduction would give you some good ideas about what to expect in the South Korean Webtoon businesses.
#독자를 #필자로 #삶을바꾸는구독
[글쓰는 사피엔스] — #PlanetSizeBrain.....✍️
#PSB는 유료독자를 우대하는 소셜미디어 기반 유료 콘텐츠 서비스입니다 —
#구독안내: https://www.facebook.com/539897334/posts/10156490811337335/?d=n
'다양한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CEO himself says that he has lived a so-called (0) | 2024.12.02 |
---|---|
Why did you go on a journey where death was almost certain and the chance of sur (0) | 2024.11.07 |
선진국에서는 지하자원은 있어도 채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0) | 2024.06.14 |
팔란티어 지속적으로 한국에서 고객유치중 (0) | 2024.06.12 |
법무사남친과 31살 여자의 결혼전 금전문제 이야기 (0)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