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밸류업 다음은 금리와 지표

2024. 2. 27. 15:08경제이슈 시황정리

반응형

2월 27일 시황. 엔비디아, 밸류업 다음은 금리와 지표

출처 시황맨
◎ 해외 증시
PCE 지표 앞두고 소폭 하락 마감
도이체, S&P500 17주중 15주 상승
이런 현상은 50년동안 한 번 뿐이었다고
엔비디아 이 후 관심은 지표와 금리인하 시점으로 전환
특히 CPI로 바뀐 금리 전망이 PCE로 다시 돌려지는지
일단 예상은 전년비 2.4%, 전월비 0.3~0.4% 전망
높게 나올 경우 AI로 비롯된 열기 꺾일 것이라는 분석
스테파니 랭, 연준은 1970년대식 실패 원하지 않아
국채 금리가 상승한 점도 경계 요인
이번주 주요 기업들 350억달러 가량 채권 발행 예정
금리를 자극하는 이벤트로 분석
골드만삭스는 경제 상황에 따라 최고치 경신에 무게
경제 회복 상황에도 금리는 내려갈 단계라는 것
Boa도 AI 관심, 경제  성장 자신감에 지지력 보일 것
샘 스토볼, 금리인하 늦춰질지 확인될 때까지 증시 오를 것
최근 대주주들의 지분 매각 소식도 관심
제프 베조스, 제이미 다이먼, 마크 커커버그 등
최근 헷지펀드들은 기술주 매도하고 있다고
골드만삭스에 의하면 IT 매도 후 필수 소비재 등으로 이동
다만 엔비디아 콜옵션 급증하는 등 상승 전망 역시 강한 편
오펜 하이머, 소형주들 상승 잠재력 주목할 시기
HSBC에서 비중 축소로 낮춘 모더나는 약세
마이크론은 HBM3E 양산 시작 소식에 4% 상승
AI 관련주들에 대한 매수 의견도 이어지는
골드만삭스, 엔비디아 매수 의견 유지
로젠블렛 ARM 목표가 140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BoA,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매수 의견
제이미 다이먼, AI는 버블이 아니라 현실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3.78 (-0.15%)
국제유가 77.63달러 (+1.5%)
변동성지수 13.75 (0.%)
10년물 금리 4.278%
MSCI 한국지수 -1.5%
야간선물 +0.24%

◎ 전망과 전략
전일 증시는 밸류업 정책 노출로 일부 매물
자율성에 무게 둔 점에 실망했다는 평가도
주로 기관 중심으로 관련주 매도가 나왔음
일단 기대치로 올라온 것  이상 재료는 없었음
관련주 전체적으로 재료 반영이 이어지기는 어려움
해당 재료는 이제부터 종목별 장세 형태로 전개될 듯
밸류업 재료 외에도 시장 자체는 매도 우위 구간
양시장 5일 연속  하락 종목수가 많았음
추가로 밀고 갈 동력이나 유동성은 아직 부족
금리와 환율이 아직 높은 수준이라는 점도 부담
다만 외국인 매수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점
금리인하, 일부 종목들 실적 턴 기대 움직임도 여전
방향을 튼 것이 아니라 일시적 매물 소화 구간  
단기 변동성 이용 실적주, 기관 수급주 지속 주목


금일 오전 시장은 코스피의 경우 강보합권 출발 후 장초반 한 차례 급락.  이후 조금씩 낙폭을 축소하며 보합권 전후의 흐름을 보였고, 코스닥은 강보합권 출발 후 장중 약간의 반등 흐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지속적인 하락으로 급락 흐름이 전개되었습니다....

외인들 코스피, 선물 매수 중이고, 코스닥은 매도량이 제법 출회되고 있습니다.

코스피의 경우 전일 낙폭이 컷던 저PBR주들이 차별화 흐름 속 일부 양전환하면서 하단을 제한시키는 흐름을 보이며 코스피 지수를 받치는 모습이었고, 그 외 반도체, 바이오, 2차전지 섹터들 밀리면서 코스닥 중심으로 낙폭이 커진 오전이었습니다....

그 외 비트코인의 강세로 가상화폐, STO 관련주들 강세를 보이고 있고, 조선, NFT 관련주들도 우호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강세 강도가 그리 강하지 못하고, 대부분 종목들은 하락이 우세한 흐름입니다....

시장 다시 강하게 밀리는 흐름인데요.... 시장은 재미 없습니다만,,, 식사 맛있게 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