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2. 07:19ㆍU.S. Economic Stock Market Outlook
SKT(에스케이텔레콤)의 최근 데이터 유출 사고에 대한 공식적인 피해 규모, 벌금, 그리고 보안 투자 현황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 피해 규모 및 예상 손실
유출된 고객 수: 약 2,690만 명(정확히는 26.95 M명)의 USIM·IMSI 정보가 악성코드 감염을 통해 유출됨 .
유출된 데이터 종류: USIM 인증 키, IMSI, 휴대폰 번호, SMS·통신 내역, 일부에서는 IMEI 정보 포함 논란이 있었지만 정부 조사 결과 IMEI는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 .
매출/영업 손실: 향후 3년 동안 약 7조원(미화 50억 달러) 규모의 손실이 예상됨(중도 해지 수수료 면제, 탈퇴 고객 증가 포함) .
---
⚖️ 벌금 예측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는 해당 사고에 대해 2023년 LG Uplus(30만 건 유출 시 약 68억 원 벌금)와 비교해 더 높은 제재가 예상됨을 언급했습니다.
법 개정으로 벌금 상한이 ‘전체 매출의 3%’로 확대됨
SKT는 약 2,500만 건이 넘는 유출 사건이므로, 벌금은 LG Uplus보다 훨씬 클 가능성 .
---
🔒 보안 투자 현황
SKT는 최근 2년간 보안예산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KT와 LG Uplus에 비해 부족한 투자가 있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2022년 기준 타사 투자액:
KT: 약 1,021억 원
LG Uplus: 약 292억 원
SKT는 해당 연도 투자 통계가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감소했다”는 내부·외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
---
📊 비교 요약표
구분 SKT (2022~2024) KT LG Uplus
보안 투자액 지속 감소 (공개 수치 없음) 약 1,021억원 약 292억원
고객 유출 규모 약 2,695만 명 USIM/IMSI 최근 주요 이슈 없음 과거 30만 건 유출 (벌금 부과 사례)
벌금 전망 전체 매출의 3% 상한 적용 가능성 있음 – 약 68억 원
예상 매출 손실 최대 7조 원 (미화 50억 달러) 손실 전망 – –
---
✅ 결론
1. 피해 규모: 약 2,695만 명의 USIM·IMSI 정보 유출
2. 벌금 규모: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LG Uplus보다 더 큰 금액이 예상됨 (전체 매출의 3%)
3. 보안 대비: KT, LG U+는 최근 작년 기준 수백억 원 이상 보안에 투자했으나, SKT는 정작 보안 예산을 축소한 결과 이번 사고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임
---
보다 자세한 숫자나 해당 기업의 최신 공식 발표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도와드릴게요!
'U.S. Economic Stock Market Outl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n if nuclear armament (0) | 2025.03.20 |
---|---|
Why do the worst people compete for the best position? (0) | 2025.03.15 |
미국 경제는 "리세션(recession)이 올 것인가"라는 화두로 뜨거웠다 (0) | 2025.03.14 |
French senator's speech to parliament - why should Europe fight Trumpism? (0) | 2025.03.14 |
To some broken soul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