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은 다시 성장한계점에 도착

2023. 4. 3. 10:28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 쿠팡의 위기는 곧 드러날 것...

작년까지만해도 쿠팡 재정상황 거론하며 곧 망할 거다.. 라고들 많이 했는데 분기연속 흑자를 내니 그런 얘기가 싹 들어갔다.
오히려 쿠팡이 성공할 거다라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짐.

쿠팡은 아직 까지 않은 카드가 있어서 앞으로도 당분간 흑자는 당연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문제는 지금부터..
까지 않은 히든카드를 까는 순간...
쿠팡의 잠재된 위기는 표면으로 드러나 현실이 될 것이다.
그건 바로.. 시장의 한계.

국내 온라인 시장을 거의 다 잡아먹다시피한 건 좋았는데..
커질대로 커진 몸집을 유지하려면, 새로운 시장을 찾아 또 먹어야한다.
그러나, 신시장으로 보고 진출한 일본에서.. 별 성과없이 사업철수하한바 있고. 다른 아시아지역 시장으로 진출하려는데..기존 플레이어들이 있어서 한국에서처럼 시장을 장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

대기업이 망하는 건..
스스로 혁신을 하지 못하고 정체되어서 머뭇거리다가...
자연적으로 무너지게 되기 때문이다.
원래 기업도 사람과 같아서 한번 생기면 성장하고 성숙기가 되면.. 그 다음은 나이들어 죽는 운명을 가지고 있다.
나라도 마찬가지. 모든 나라의 역사는 그지역 왕조의 흥망성쇠 스토리다.

쿠팡의 지금 상황을 진단하면 성장단계에서 성숙기로 가는 변곡점을 지나고 있는 것 같다.
여기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서 갈아타야 영속적인 사업을 할 수 있는데.. 덩치 큰 조직이 갈아타려면.. 이게 장난 아닌 일이란 말이지...

대기업이면 천년만년 안정적일 것 같지만... 전혀...

지금만해도 페이스북.. 메타에 투자하는 거 같은 뻘짓을 또 하면 머지 않아 망할 수 있음.
다행히 인스타그램이라는 괜찮은 플랫폼을 초기에 인수해서 버티고는 있지만.. 주커버그의 능력이 그리 뛰어난 거 같지 않아서 불안함.

MS든 애플이든 대단한게..
스스로를 혁신하면서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 것.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한때 윈도우폰 폭망하면서 위기에 빠졌지만. 때마침 등장한 사티아 나델라라는 걸출한 CEO가 클라우드 전략으로 올바른 길을 가는 바람에 요새 재부활할 수 있었음.

가장 극적인 건 일론 머스크.
테슬라도 있지만, 그가 벌이는 스페이스x와 기타 유명하지 않은 여러가지 사업들...
성공을 해봤기에 다음을 준비하는 여유있는 창업자의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 그가 하는 사업들은 초라하게 망하진 않을 것 같다.

기업하면서 항상 기억해야할 단어가..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인 것 같다.

쿠팡 매출액이 50%나 늘었는데 인건비는 73%나 증가함.

상품마진율이 17%라 낮은 것도 아님. 그러나 매출총이익 3.6조원으로 인건비 4.7조원을 커버칠 수가 없음.

사업모델 자체가 노동집약적인데 어떻게 규모의경제를 실현해서 이익전환을 하지;;;
아마존같이 AWS 같은 거를 만들던가 풀필먼트로 유통 다 잡아먹던가...

앞으로 갚아야 하는 차입금과 리스부채만 거의 3조원인데 이거 무슨수로 갚을런지...

밑빠진독의 물붓기식 유상증자를 미국에서 하니 뭐 상관은 없다만 컬리도 쿠팡이랑 별 차이가 없어서 더이상 할말하않.

플랫폼, 유니콘이란 환상에서 이제 깨어날 시간~


쿠팡 주가 무려 상장 후 75%나 빠졌다. 언론들이 일제히 55조 맨이라고 극찬하고 띄어줄때 개미들은 쿠팡 주식을 샀다. 최근에도 바겐세일 아니냐며 쿠팡 주식 2주간 약 190억원 넘게 매수한 투자자들이 있다고…마켓 컬리도 곧 상장한다는데 미래가 보인다.

쿠팡은 애초에 흑자전환에 관심 없는것 같다. 갈수록 커져가는 적자를 잡을 시도도 안하는것 같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에도 별 생각이 없는듯…그저 어떻게든 시장점유율 높인 다음 팔고 끝내려는게 아닐까? 롯데 네이버 쪽이 인수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기사가 나오는 상황.

처음에 소셜커머스라고 티몬 쿠팡이 나왔을때는 ’모이면 싸진다’라은 컨셉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줄 알고 신기했고 쿠팡 티몬 대표와도 직접 만나 이야기듣고 인터뷰 기사도 여러번 썼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냥 애초에 아마존처럼 키워서 엑시트 하고자 한국시장에 들어왔다는 생각이 든다.

그게 꼭 나쁜것만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기업 오너면 자신들을 믿고 투자한 투자자들에 대한 예의는 있어야지…주가 폭락에 그냥 손놓고 있는 모습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