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 해결 first step 전액보장] (Feat. 예금전액보장=마무리국면)

2023. 3. 13. 10:06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펌 )) [SVB 해결 first step 전액보장]
(Feat. 예금전액보장=마무리국면)

US official said to consider protecting all deposits at SVB

미국정부가 SVB 예금 전액을 보장하는 것을 검토중

☑️확정되면 SVB 이슈는 빠르게 소멸 될 가능성, 아시아 금융시장 개장전 미국정부가 시장에 주는 시그널로 판단
(SVB보장 = 모두 보장)

☑️아직 인플래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은행건전성/신뢰도 이슈까지 터지면, 2024년11월 대선전 금리인하 전략은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결국 미국 정부는 외통수인 상황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중국의 고성장에 따른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으로 연준이 2004년7월부터 2006년7월까지 2년간 1%의 기준금리를 5.25%까지 인상했고, 이후 경기침체가 오며 실업률이 증가하여 주택담보대출(모기지대출)의 빵꾸(연체)가 급증하며, 모기지대출을 기초자산으로 만들어놓은 다양한 파생상품들이 피라미드형태로 붕괴되며 발생

그러나 이번 SVB사태는 작년말 있었던 영국 연기금 이슈와 유사, 단기에 급등한(연준이 강제로 끌어올린) 금리로 만기보유 채권 등 금융기관 보유자산가치의 하락이 근본 원인

영국 연기금 사태는 연기금의 보유자산가치가 현시점에 낮아져도 특정시점에 나가야하는 Cash Outflow(가입자 연금지급) 정해져있기 때문에 큰 이슈없이 BOE의 초단기 QE로 단기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며 마무리(연기금은 연금만 재때주면 뱅크런은 구조적으로 불가능)

그러나 SVB사태는 은행이 고객들의 예금을 기반으로 사놓은 만기가 긴 자산가치의 하락이 원인으로 고객들이 한순간에 예금을 빼버리면 은행은 자산을 밀어파는 방법 이외에 대응수단이 없음

만약 정부가 고객들의 예금을 보장해주면 SVB사태는 영국 연기금 이슈와 동일해지며, 연준과 미국정부가 시장에서 fair value에 매각이 안되는(유동성 부족으로) 자산을 매입해준다면 단기간에 이슈는 소멸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