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학생인권조례 운운하는 것들이 있다.

Tmarket 2023. 7. 22. 23:44
반응형

길다. 개인적인 의견이다. 반대 의견이 있다면 딴데가서 내 욕하시고, 여기에 댓글 달지마라.  
-
이번 일로, 학생인권조례 운운하는 것들이 있다. 개소리다. 극우 (기독교) 동네의 오랜 민원을 이 기회에 처리하려는 사악한 의도인데.. 내가 그것들의 성실함은 인정하는 바이다. 이번 일과 학생인권조례와는 1도 관련이 없다.
-
아마도 전국 대부분의 학교는 꽤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학부모들도 훌륭하고, 선생님들도 매우 애쓰고 계신다. 그러나, 일부 학교 현장은 매우 잘못된 권력 학습장이 된지 오래다. 학교 구성들 사이의 권력 dynamics는 지역별로, 학생들의 구성에 따라, 초중고 학교 급별로 매우 다르다.
우선 학생과 학부모의 권력은 반드시 학교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학폭은 너무 당연하고, 정순신,이동관의 경우처럼 학폭과 연관된 학부모 폭력, 그리고 이번 사태에 따라 알려진(그러나 이미 누구나 다 알던) 학부모의 과도한 개입(이라고 쓰고 지랄이라고 읽음)은 보편적 교육의 가치와 목표를 흔든다. 특히 학부모의 개입은 기본적으로 교육 현장을 망가뜨리고, 결정적으로 그 피해자들 (학폭의 경우라면 피해 학생, 그리고 학부모 폭력이 보호하려는 가해 학생, 학교의 모든 학생들, 정상적인 교육 프로토콜을 따르려는 선생님들 모두)에게 회복할 수 없는 상처를 준다. 학부모의 개입을 통해 면죄부를 받거나, 그 개입이 당연하다고 느낀 학생은 그 나쁜 부모로부터 앞으로 벌일 자신의 반사회적 행위들도 문제가 없다고 배울 것이므로 사회에도 큰 부담이 된다.
한편, 그 주체가 선생님인 권력은 주로 입시에의 영향력에서 기인하는데, 입시 실적이 엄하게(?) 관리되는 중고등학교에서 가끔 관찰된다. 그런 선생님 권력은 역시 입시 관련한 학부모들의 권력과 팽팽한 긴장관계에 놓인다.
-
강남은 학부모의 권력이 과도한 지역이다. 숫자만 보면 안 그런 학부모가 더 많겠지만 지금 극우의 지지도로 정권이 하는 짓거리를 보면, 숫자가 문제가 아니라 그 세기와 권력의 자신감이 문제인거다.
그나마 균형 근처에서 왔다갔다하는 중고등학교와는 달리. 입시와는 아직 거리가 있는 초등학교는 일방적으로 선생님에게 불리한 권력 지형이다. 입시 관점에서의 불이익을 걱정할 필요없는 환경에서 사악한 학부모들은 선생님에게 그 권력을 무차별적으로 휘두른다. 다른 착한 학부모들은 그 권력 싸움이 무섭다. 그래서 뒤에서 수근댈 뿐 개입할 수 없다. 초등학교에서 학부모 권력이 동작함을 느끼지만 휘두르지 않는 학부모들은 아이가 자라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될 미래의 권력층에서 소외될까봐 절대 수근대는 대열에도 끼지 않는다.
-
답은.. 많은 사람이 이야기하듯 학부모의 학교 개입을 철저하게 분리하는 거다. 선생님과 부모의 접점은 아주 특별한 경우에만 학교(장)의 중재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김영란법 수준의 법이나, 최소한 조례가 필요하고, 교육청이 강조하고 그걸 교장 선생님들이 자리를 걸고 지키도록 해야한다. 그냥하면 된다.
*
다행스럽게도, 우리 아이가 다닌 학교(특히, 초,고)의 교장 선생님들이 대체로 그런 확실한 포지션에 있었다. (사립학교들이었지만) 학교의 정책이 싫으면 전학가라고 하셨다. 실제 전학간 사례도 있다. 학부모들 모임에서 느껴지는 그 권력욕들이 학교의 확실한 방침에 의해 현실로 발휘되지 못하는 사태를 보고, 심하게 학교 선생님들을 존경했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