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국 MD-PhD 졸업생 서베이

Tmarket 2023. 3. 29. 09:10
반응형

펌) 미국 MD-PhD 졸업생 서베이

의사 과학자는 양성 프로그램을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기서 배출된 졸업생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직장이 마련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과대학연합회에서 실시한 졸업생 서베이를  보면, 우리나라의 한계가 잘 드러난다.

National MD-PhD Program Outcomes Study
https://store.aamc.org/downloadable/download/sample/sample_id/162/


1. 졸업생의 현 직장
- 65.1% Academia Full-time
- 14.7% Private Practice(개원의)
-> 대부분 대학에 남지만 개원의로 가는 사람도 일부 있다.

2. 대학병원이나 의과대학에 소속된 졸업생의 연구 시간 비중
- 업무 시간의 50% 이상을 연구에 쓰는 사람은 52.7%
- 업무 시간의 70% 이상을 연구에 쓰는 사람은 36.2%
-> 우선, 의사 과학자는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는 사람이다.
-> 졸업생 중 절반 정도만이 자신의 업무 중 50% 이상을 연구에 사용. 기대보다는 연구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지 않은 느낌

3. 대학/연구기관 소속 졸업생 중 PI인 사람의 연구비 소스(현재)
- Only Non-NIH Funding 51.0%
- Only NIH Funding 13.5%
- Both NIH/Non-NIH 35.4%
-> 49%의 PI가 NIH 과제 수주, 86.4%의 PI는 NIH 아닌 곳에서 과제 수주. MD-PhD 졸업생들은 주로 연구비에서 자기 인건비를 벌어오는데, NIH 과제보다 비NIH 과제가 더 많음

4. Non-NIH Funding의 제공 기관들
- HHMI등 자선 재단의 비중이 가장 큼

* 결국 미국 MD-PhD 시스템이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졸업생들이 정부와 민간의 과제를 수주해서 인건비를 벌 수 있는 구조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

* 우리나라의 한계
- 정부연구과제에서 정규직 교수/의사의 인건비 계상이 어렵다.
- 연구비 소스가 정부연구과제 + 기업 연구비(주로 임상시험 용역)로 제한되어 있다.

* 이 외에 참고할만한 자료들

The national MD-PhD program outcome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specialty, training duration, research effort,
and career paths
https://doi.org/10.1172/jci.insight.133009


2018 MD-PhD Alumni Survey, Yale School of Medicine
https://medicine.yale.edu/news-article/2018-md-phd-alumni-survey/


MD-PhD Programs: The Ultimate Guide (2023)
https://www.shemmassianconsulting.com/blog/md-phd-application-essay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