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ChatGPT이슈는 이제 적당히 정리해야된다, 생각보다 오래가지않는다.

Tmarket 2023. 2. 16. 22:50
반응형

펌)) <지극히 주관적인 MS Bing + 프로메테우스 AI 검색 3일 이용 후기>

1. 구글 검색을 전혀 안쓰게 된다.

2. ChatGPT도 전혀 안 쓰게 된다 (한 달 유료 결제 ㅠㅠㅠ)

3. 블로그 글이나 기사 작성할 때 무조건 Bing으로 먼저 돌리게 된다.

4.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이 너무 구체적이고, 자세하고, 전문적이어서 깜짝 놀란다. 질적, 양적인 면에서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뛰어나다.

5. 답변 내용 한 줄 한 줄에 대한 레퍼런스와 링크를 모두 달아준다.

6. 최신 데이터까지 다 검색해 준다.

7. 답변에 오류가 전혀 없는 것은 당연히 아니나,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보다는 훨씬 정확하다. 주관적인 체감 정확도는 95% 이상인 듯

8. 답변 결과의 오류에 대한 문제는 어떤 질문을 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함. 물론 전혀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자연스럽게 생성해서 사실인 것처럼 만들어내는 것은 문제라고 보지만, 사실 관계가 명확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적은 주제에 대해서는 매우 구체적이고 거의 완벽한 답을 내 준다.

9. 의학과 관련된 전문적인 주제에 대해 전문적인 방식으로 질문하면, 데이터와 수치, 논문에 기반해서 대답을 해주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이 주관성이 적거나 정량적이고 명확한 수치 데이터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을 하면 굉장히 양질의 결과를 얻기가 쉽다.

답변에 대해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는 엄밀히 말해 해당 논문이나 자료의 오류이므로, AI 알고리즘 자체의 오류는 아니다. 따라서, AI 검색 엔진의 오류에 대해 비판할 때는, AI 알고리즘 자체의 데이터 생성 오류와, 논란이 있거나 부정확한 데이터를 검색해서 취합한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후자의 오류는 AI의 오류가 아니므로, 이런 관점에서 AI가 평가 절하되어서는 안된다. 어차피 이런 경우는 사람이 직접 검색해도 오류의 가능성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기 때문 (자료 자체의 진실성의 문제는 AI 알고리즘 자체의 오류와는 구분해야 함)

웹 상에 가짜, 쓰레기 자료만이 난무한다면, AI가 제공하는 답변도 여기에 대해 자유로울 수는 당연히 없다. 그런데, 이런 문제까지 AI 에게 해결하라고 하는 것은 너무 상식을 벗어난 영역이라고 생각

하지만, 없는 말을 만들어내고, 모르는 사실에 대해 마치 아는 것처럼 그럴 듯하게 꾸며내는 '현란한 테크닉'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라고 봄.

10. 현재 우려하고 있는 AI 검색 엔진의 오류와 부정확성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전혀 걱정하지 않음. 왜냐면, 지금 정도의 정확성과 성능 정도만 해도 정말 놀라울 정도인데, 지금은 그야말로 시작 단계에 불과하기 때문

솔직이 이 정도 퍼포먼스가 시작 단계라는 것도 믿겨지지 않음

하루가 다르게 알고리즘의 오류는 낮아지고, 모델의 정확도는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머지 않아 검색의 대세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확신

p.s.
1) 급등주 몰빵하다가 쫄딱 망한 사내의 스토리를 방망이 깎는 노인 스토리 스타일로 패러프레이즈하라고 했더니 깜놀할 결과를 보여줌.
이 글을 보고 계신 고상한 제 페친님들께서는 입에 담지도 못할 뒷골목 어휘를 걸쭉하게 구사하는 것을 보고 살짝 충격 받음 (공개 불가)

2) 어떤 주제를 던져주고, 내 블로그 주소를 알려주며, 나의 문체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라고 했더니, 마치 나처럼 글을 씀 ㄷㄷㄷ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