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특정 기술에만 올인 하면 '온난화 저지 비용'이 대폭 증가한다?

Tmarket 2023. 2. 16. 09:34
반응형

권효재님글)) IPCC의 고위 관계자분이 국내 언론사와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은 오해 할 수 있습니다.

- 특정 기술에만 올인 하면 '온난화 저지 비용'이 대폭 증가한다?
온난화 저지를 위해서는 탄소 누적 배출량 저지선을 지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대량 탄소 배출원을 빨리 저탄소 배출원으로 대체해야 합니다. 현재의 탄소 배출 속도를 고려하면 저지선은 2028-29년이면 돌파되는데, 이는 SF만화 영화 등에서 볼 수 있는 지구를 충돌하는 혜성의 저지선과 비슷해서 일단 그 선이 뚫리면 돌이키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CDP가 주창하는 RE100 이니셔티브는 국가 차원이나 글로벌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100%를 요구하는게 아닙니다. 대규모 대량 탄소 배출원의 1등은 석탄발전소인데, 이를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대처하기 위한 마중물을 규모가 큰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공급하라는 취지입니다. 국가나 세계적 차원에서 전력과 에너지 분야를 포괄한 전 분야의 탄소중립에서는 당연히 모든 가용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모든 가용한 기술이 있으면, 이론적으로 '온난화 저지 비용'이 제일 낮아지지만, 경로 이슈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 제일 문제가 되는 부분을 해결을 해야 그 다음 단계가 열립니다. RE100 이니셔티브가 시작된 2014년에는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정부 보조금 이외에도, 기업들의 자발적인 PPA로 재생에너지 산업을 키우는 것이 king pin으로 여겨진 시점이었습니다. 그 결과 세계 여러 지역에서 풍력과 PV LCOE가 많이 낮아졌고, 국내도 오늘 기준 SMP의 절반 수준으로 대규모 PV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역설적으로 2023년에 북미, 유럽,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RE100 이니셔티브는 별 화두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미 재생에너지 발전이 경제적으로 매력적으로 바뀌었고, 장기적으로 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한다는 것이 명백해졌기 때문에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알아서, 앞다투어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국가마다 다르겠지만, 일단 VRE30 정도에 도달하면 (국가의 소비 전력량 중 30%는 출력 제어가 안되는 재생에너지) 수소나 CCUS 등 다른 기술도 같이 도입되어야 합니다.

비유를 하면 지금 고도 비만인 사람은 일단 식단을 바꾸고, 운동을 꾸준히 해야만, 몸짱이 되기 위한 부위별 근력 운동 단계로 갈 수 있습니다. [몸짱이 되는데 샐러드만 먹고, 유산소 운동만 해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라는 말은 맞지만, 당사자가 고도 비만이면 일단 샐러드 먹고, 유산소 운동부터 해야 합니다.

- 재생에너지 생산 환경이 좋지 않은 우리가 RE100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IPCC 고위 관계자와 기자가 사용하는 단어와 맥락이 중요합니다. 국가 차원의 RE100, 즉 한국의 전력 사용을 100% 재생에너지 발전원으로 충족하는 것이 "RE100"의 정의라면 당연히 우리가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질문을 보면 "글로벌 기업은 RE100 압력을 받는다"로 시작합니다. 글로벌 기업이라는 정의가 모호하지만, 포춘500대 기업 중 다수가 재생에너지 PPA를 하기 수월한 여건에서 사업을 하고 있고, 소비자 단체나 투자사들이 압력을 넣는 것은 사실입니다.

국내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의 사례를 보면, 삼성전자는 최근 한 단체로부터 "탄소중립 이행 계획이 불명확하고 실적이 좋지 않다"라는 매서운 비판을 받았습니다. 국내 반도체 공장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이 막대하고, 전기의 40%는 고농도 탄소배출이 수반되는 석탄발전소에 나옵니다. 반도체 공정 자체에서도 강력한 온실가스가 다수 배출됩니다. 투자사나 소비자들은 당연히 삼성전자에 탄소배출 저감을 요구하며, 그 이행 수단을 구체화시키라고 압력을 넣고 있습니다. 그래서 삼성전자는 작년에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으며, 2030년까지 사용전기의 60%를 재생에너지에서 조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큰 기업고객인 애플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이해되며, 경쟁사인 TSMC도 같은 압력을 받고 유사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는 첨단 소비재, IT기업들은 좋으나 싫으나 재생에너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애플, 삼성전자, TSMC가 모두 동일한 행보를 보인다고 봐야 합니다. 이는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정책과는 다소 촛점이 다릅니다.

요약하면, 국가 차원의 RE100 계획이나 목표는 일견 불합리해 보이지만, 2023년 현재 재생에너지 비중이 매우 낮고, 석탄발전이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는 탈탄소 발전원 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RE100"이라는 단어가 다른 저탄소 수단을 배제하는 뉘앙스를 주는 것은 문제이며, 쓸데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유감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 속도, 주민 수용성, 수출 산업의 브랜드 관리 필요 등을 감안하면 RE100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 RE60은 기업 차원에서나 정부 차원에서는 전력을 다해 추구해야 합니다.

NP70(원전 전기 70%)도 대안으로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장기적으로 전력 소비처 인근에 발전소를 배치해야 하고, 수용성 이슈를 돌파해야 합니다. RE60 역시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시설과 지능형 그리드, 경쟁-협조적인 전력 시장 등 소위  '에너지 인터넷'이 아니면 국내에서는 2050년까지 실현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2023년 지금의 상황에서 NP30은 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선 추구해야 할 것은 2030 RE30 정도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데, 자꾸 같은 논쟁이 반복되어 유감입니다.

출처 권효재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