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KOSPI는 14시 35분 현재 +0.04% 상승한 2,619.25pt 경제지표 경계감과

Tmarket 2024. 8. 13. 23:55
반응형

[장 중 시황] 약해진 투자심리, 경제지표와 지정학적 리스크속 반등동력 부재 [FICC리서치부 전략/시황: 이경민]

- KOSPI는 14시 35분 현재 +0.04% 상승한 2,619.25pt
경제지표 경계감과 지정학적 우려 속 기관 매도세에 하락.
기관 -441 억원 순매도 / 외국인 374 억원 순매수 / 개인 483 억원 순매수.

- 지난주 하락 이후 시장이 뚜렷한 반등 요인을 찾지 못하면서 보합권, 전일 종가인 2,618pt는 선행 PER 8.6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높지 않으나 투자심리 돌아서지 못하고 정체 중

시장 심리가 약해져 있는 가운데, PPI, CPI, 소매판매 지표를 앞두고 경계심리가 시장 상승을 저해하고 있음. 거기에 추가로 얹어진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로 쉽사리 위험자산 시장으로 유동성이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온즈당 2,460원대까지 상승. WTI유 선물 가격도 배럴당 80불대에 임박

추가적인 엔캐리 청산,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 역시 시장에 잔존한 가운데, 앞으로 발표되는 지표들이 시장의 우려를 불식 혹은 증폭시키는지에 따라 앞으로의 시장 향방이 결정될 것. 시장이 겁을 먹은 상황 속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반도체 대형주 위주로 조심스럽게 저점매수 움직임 나타나는 중

- 아시아증시 일본을 제외하고 보합세.
일본니케이지수(+2.85%) 전일 휴장이후 이번주 첫 거래일, 지난주 미국 반등의 Catch-Up 움직임에 강세.
반면, 대만가권지수(+0.01%), 중국상해종합지수(-0.22%), 홍콩항셍지수(+0.22%) 등 보합

- 원/달러 환율 전일 종가대비 0.1원 상승한 1369.7원

- 업종별로는 보험(+2.89%), 통신업(+1.10%), 금융업(+0.80%) 강세. 의료정밀(-2.96%), 의약품(-1.89%), 건설업(-1.58%) 약세

화장품업종 약세, 코스맥스(-15.53%), 한국콜마(-7.54%), 아모레퍼시픽(-3.73%) 등 지난분기 실적 대비 2분기 실적 혼조세 나타나는중, 종목별 호실적 등락과 무환하게 차익실현 매물 출회.

바이오업종 차익실현 매물 출회, 신풍제약(-12.23%), 셀트리온제약(-6.08%), 메디톡스(-4.44%) 등 약세.

반면, 은행 및 보험업 강세, DB손해보험(+4.12%), 삼성생명(+4.46%), 우리금융지주(+2.10%) 등 상승

또한, 크래프톤(+10.92%)어닝 서프라이즈에 급등, 배틀그라운드 IP 이용자수 증가와 해외 모바일 매출 호조

- KOSDAQ 762.01pt, -1.39% 하락. 바이오 종목 대다수 하락하며 지수 약세압력.
업종별로는 유통(-2.73%), 오락·문화(-2.60%), 의료·정밀기기(-2.44%) 약세. 반면, 기계·장비(+0.12%) 상승.

[대신증권 투자전략/시황 텔레그램 채널]


반응형